2025/05 23

감각의 폭풍, 신앙의 무대: 바로크 양식의 과장미와 정열

1. 카운터 리포메이션과 바로크 예술의 탄생[키워드: 바로크 예술 기원, 카톨릭 반종교개혁, 신앙의 시각화]바로크 양식은 16세기 말에서 18세기 초까지 유럽 전역에 걸쳐 확산된 예술적 흐름으로, 그 기원은 **카톨릭 교회의 반종교개혁(Counter-Reformation)**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분열된 신앙 질서 속에서 로마 가톨릭은 예술을 통해 신의 권위와 신비를 다시금 드러내고자 했고, 그 결과로 탄생한 것이 바로 감각적이고 정서적으로 강렬한 바로크 양식이었다.기존 르네상스의 질서와 균형, 절제에서 벗어나, 바로크 예술은 복잡한 구도, 극적인 명암 대비, 곡선의 움직임, 감정 표현의 과장을 특징으로 삼았다. 이는 예술을 통해 신의 권위뿐 아니라 인간의 감정까지 호소하는 설..

건축 2025.05.03

조화의 수학, 아름다움의 철학: 르네상스 시대의 이상적 비례

1. 고대의 부활과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비례 개념[키워드: 르네상스 인문주의, 고대 그리스 비례론, 건축 철학의 부활]르네상스 시대의 이상적 비례 개념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수학적 미학과 철학을 재발견하고 계승하려는 움직임에서 시작되었다. 중세의 상징적, 종교 중심의 공간 구성에서 벗어나, 르네상스는 인간 중심의 조화로운 비례와 현실 세계에 대한 수학적 탐구를 미의 기준으로 삼았다. 이 시기 학자들과 예술가들은 플라톤과 피타고라스, 비트루비우스(Vitruvius)의 저작을 참조하여, **수학과 철학이 결합된 ‘조화의 비례’**를 예술적 규범으로 확립하고자 했다.특히 고대 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가 《건축십서》에서 언급한 **“건축은 강도, 기능, 아름다움의 세 가지 원칙 위에 세워져야 한다”**는 이..

건축 2025.05.02

하늘을 향한 기하학: 고딕 대성당이 상징하는 종교와 수학

1. 고딕 건축의 시작: 하늘과 연결된 신앙의 상징 공간[키워드: 고딕 건축 기원, 종교적 상징, 신과 공간]고딕 대성당은 12세기 중엽 프랑스 일드프랑스 지역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중세 기독교 세계관의 집약적 표현물이다. 이는 단순한 예배 공간을 넘어, 신과 인간의 만남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성스러운 구조체로 기능했다. 고딕 대성당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수직성을 강조한 첨탑과 아치, 그리고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 창인데, 이 모든 요소는 하늘, 곧 천국으로의 상승을 상징한다.고딕 성당은 중세인의 정신적 세계관을 건축화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당시 기독교 신학에서는 세속적 세계는 불완전하지만, 신의 세계는 완전하고 조화로운 질서를 이룬다고 믿었고, 이를 빛과 공간의 상징적 배치를 통해 구현하고자..

건축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