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하늘을 향한 곡선과 수직선: 중동 이슬람 돔과 미나렛 건축의 진화

rich-love 2025. 4. 17. 18:08

1. 이슬람 건축의 형성과 돔의 기원

[키워드: 이슬람 돔 건축, 비잔틴 영향, 우마이야 왕조]

이슬람 건축에서 돔(dome)은 단순한 지붕 구조를 넘어 신성과 하늘의 상징, 공간 중심성의 표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돔의 기원은 고대 로마와 비잔틴 건축에서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콘스탄티노플의 성 소피아 대성당의 중앙 돔은 초기 이슬람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마이야 왕조(661–750)는 이러한 전통을 흡수하면서도 이슬람 교리와 미학에 맞는 새로운 건축 언어로 재구성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예루살렘의 바위의 돔(Dome of the Rock, 691년)**이다. 이 건축물은 팔각형 기단 위에 돔을 얹은 형식으로, 종교적 상징성과 공간적 권위의 결합을 보여주는 초기 이슬람 돔 건축의 대표 사례다. 이 돔은 단순히 건축적 미학을 위한 구조가 아니라, 신과의 연결점, 무함마드의 승천 장소를 덮는 신성한 덮개로 해석되며, 이후 수 세기에 걸쳐 돔은 이슬람 예배 공간의 핵심 요소로 발전하게 된다.

하늘을 향한 곡선과 수직선: 중동 이슬람 돔과 미나렛 건축의 진화

 

2. 구조 기술의 진화와 돔의 다양화

[키워드: 이슬람 돔 구조, 펜던티브와 스큘리온, 지역 양식 차이]

이슬람 건축에서 돔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구조 기술과 형태가 지속적으로 진화해 왔다. 초기에는 비잔틴의 펜던티브(pendentive) 구조—네모난 평면에서 원형 돔으로의 전환을 위한 삼각형 곡면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페르시아, 오스만, 무굴 양식에서는 스큘리온(squinch) 기법이나 다중 돔 구조가 도입되어 공간적 확장성과 시각적 화려함을 동시에 실현했다.

페르시아 지역에서는 돔 외피를 이중 돔(Double Shell Dome) 구조로 형성하여 외부에서는 장대한 높이와 곡률을 유지하면서 내부 공간은 더 정밀한 음향과 장식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란 이스파한의 **샤 모스크(Sheikh Lotfollah Mosque)**가 대표적이며, 타일로 덮인 푸른 돔은 이슬람 건축에서 색채와 곡선미의 절정을 상징한다. 반면 오스만 제국의 **술레이마니예 모스크(Süleymaniye Mosque)**나 **술탄 아흐메트 모스크(블루모스크)**에서는 하나의 거대한 돔과 여러 반돔이 층계형 수직적 구성을 이루며 시각적 중심을 형성한다.

 

3. 미나렛의 출현과 기능적 진화

[키워드: 미나렛의 기원, 종교적 기능, 지역별 양식]

미나렛(minaret)은 이슬람 건축에서 기도 시간(아잔)을 알리는 탑이자, 시각적 상징물로서 사원의 존재를 드러내는 중요한 수직 요소다. 초기에는 단순히 예배자들을 부르는 실용적 목적에서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장식성과 상징성을 갖춘 독립 구조물로 진화하였다. 첫 미나렛의 형태는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고대 시리아의 탑 구조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무함마드 시대에는 지붕 위에서 직접 외침(아잔)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후 미나렛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었다. 북아프리카와 안달루시아 지역에서는 사각형 평면의 단단한 미나렛이 주를 이루고, 이란과 중앙아시아에서는 타일 장식이 풍부한 원형 또는 팔각형 미나렛이 발달했으며, 오스만 제국에서는 슬림한 원기둥 형태의 첨탑형 미나렛이 모스크의 수직성을 강조하는 요소로 자리 잡았다. 미나렛은 단지 기도 호출의 수단이 아닌, 이슬람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는 문화적, 종교적 상징물로 정착하였다.

 

4. 현대 이슬람 건축에서의 돔과 미나렛의 재해석

[키워드: 현대 이슬람 건축, 상징성과 미니멀리즘, 기술 융합]

21세기 이슬람 건축은 전통 돔과 미나렛의 상징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재료, 구조 기술, 디자인 감각과 결합하여 새로운 건축 언어로 진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카타르 도하의 국립 이슬람 예술 박물관(MIA, I.M. 페이 설계),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셰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 등이 있다. 이들 건축물은 전통 이슬람 양식을 현대 미니멀리즘과 기하학적 추상성 속에 통합하며, 돔과 미나렛을 비물질적이고 상징적인 형태로 구현한다.

셰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는 반짝이는 흰 대리석, 다층 돔과 다수의 미나렛을 통해 전통미를 극대화하면서도, 빛과 그림자를 활용한 구조적 리듬감으로 현대적 감각을 구현하고 있다. 반면 일부 현대 모스크는 미나렛을 생략하거나, 조형적 추상 요소로 축소하여 기능 대신 의미와 상징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이슬람 건축이 고정된 형식이 아닌, 시대와 문화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하는 유기체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진화다.